2028 대입 개편 완벽 정리




  • 고교학점제 도입: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하여 졸업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. 이로 인해 학생들은 더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며, 교실 이동 수업이 증가합니다. [00:17]
  • 성적 평가 방식 변경: 현재의 9등급 상대평가에서 5등급 상대평가로 전환됩니다. 이에 따라 더 많은 학생들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되지만, 대학에서는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해 학생부의 다른 요소, 특히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(세특)을 더욱 중요하게 평가할 것입니다. [00:51]
  • 학생부(세특)의 중요성 강화: 과목별 담당 교사가 학생의 수업 참여도, 보고서, 발표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는 '세특'의 영향력이 커집니다. 과목이 학기 단위로 운영되면서 세특 기재 기회가 늘어나 종합적인 학생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. [01:56]
  • 2028학년도 수능 변화:
    • 선택과목 제도가 폐지되고 모든 학생이 동일한 과목을 응시하게 됩니다. [02:45]
    • 수학(미적분 II, 기하 제외)과 탐구 과목(고1 과정의 통합사회, 통합과학만 포함)의 시험 범위가 축소됩니다. [02:55]
    • 시험 범위 축소로 수능의 변별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, 이는 내신 성적과 학생부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. [03:22]
  • 대학 입시 변화: 대학들은 정시 전형에서도 학생부를 반영하는 추세이며, 학생부 교과 전형에서도 학생 활동과 '세특'에 대한 정성평가가 중요해질 것입니다. [03:39]

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다음을 준비해야 합니다:

  • 학교 교육과정 검토: 자신의 관심사와 진로 목표에 맞는 과목을 파악합니다. [04:54]
  •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: 질문을 하고 긍정적인 '세특' 기록을 위해 노력합니다. [06:54]
  • 과제와 보고서를 독창적으로 수행: 다양한 과목에서 자신의 관심사를 연결하여 깊이 있는 탐구와 성장을 보여줍니다. [07:15]

영상은 미래의 대학 입시가 단순히 성적이 좋은 학생보다는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탐구하는 학생을 선호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마무리됩니다. [08:07]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