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.25 작전명령 174호 장사상륙작전
1950년 9월 10일, 한국 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비밀 작전 명령이 떨어졌습니다. 나흘 뒤인 9월 15일로 예정된 인천상륙작전을 위한 장사상륙작전이었습니다 [
장사상륙작전은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할 수 있도록 북한군의 보급로를 끊고 시선을 분산시키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[
작전의 진행 및 결과:
- 상륙 및 고지 탈환 문산호를 타고 장사리에 상륙한 학도병들은 빗발치는 총알 속에서 백포 고지를 향해 돌격했습니다 [
]. 작전 개시 12시간 만에 고지 탈환에 성공했지만, 수많은 전우들이 희생되었습니다 [03:11 ].04:26 - 보급로 차단 고지를 탈환한 후 학도병들은 북한군의 보급로 역할을 하던 다리를 폭파하고 반대편 고지까지 점령했습니다 [
]. 이로 인해 북한군의 관심이 장사리로 쏠리게 되었습니다 [05:44 ].06:50 - 북한군의 반격과 철수 작전 3일째, 북한군이 전차까지 앞세워 대규모 반격을 시작했고, 학도병들은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[
]. 구조선이 도착했지만, 북한군의 공격으로 많은 소년병들이 바다로 떨어지거나 배에 오르지 못하고 남겨지기도 했습니다 [07:02 ].09:07 - 인천상륙작전의 성공 장사상륙작전 덕분에 인천상륙작전이 대성공을 거두었고, 전세가 완전히 뒤집히면서 북한군은 후퇴하기 시작했습니다 [
].12:51
남겨진 소년병들의 운명:
- 장사리에 남겨진 약 30여 명의 소년병들은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습니다 [
]. 이들은 며칠 밤낮을 걸어 끌려가던 중, 인민군 병사들이 잠든 틈을 타 탈출에 성공했습니다 [11:48 ].14:01 - 탈출한 소년병들은 남쪽을 향해 달려 국군과 재회했고, 일부는 다시 국군에 합류하여 전투에 나섰습니다 [
].14:52 - 전쟁에 참전했던 소년병들은 1953년 7월, 휴전이 되고 나서야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[
].15:51
작전의 숨겨진 진실:
- 장사상륙작전에서 전사하거나 실종된 학도병의 정확한 수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. 약 139명이 전사 또는 실종된 것으로 추정되지만, 이는 공식적인 숫자가 아닙니다 [
].16:31 - 작전에 참여한 총인원 또한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[
].16:56 - 전사자들의 유해는 단 한 명도 발견되지 않았으며, 1997년부터 시작된 유해 발굴 작업은 2022년까지도 아무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[
].17:32 - 현재 생존해 있는 장사상륙작전 참전 학도병들은 90대로, 20명 미만이며, 희생된 동료들의 유해를 찾는 것이 마지막 소원입니다 [
].19:00
댓글
댓글 쓰기